|
 |
Home > 교정치료정보 > 정상교합과 부정교합 |
|
 |
|
|
 |
교합(occlusion)이란 아래위의 치아가 맞물리는 것을 나타냅니다.
정상교합이란 아래위 치아가 잘 맞물린다는 뜻이겠지요?
안면의 골격 및 턱뼈와 조화를 이루고, 아래위 치열이 잘 맞물리며, 기능과 심미에 있어서 적절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치열은 가지런하여도, 입이 나와보이거나 한다면 정상교합이라 할 수 없겠지요.
정상교합의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어떤 하나의 절대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랍니다. 사람마다 키 높이가 다르듯이, 일정한 범주의 상태를 정상교합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
|
 |
정상교합이 아닌 것이 부정교합이겠지요.
부정교합을 분류하는 기준은 전문가의 입장에서도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전문가의 입장에서보다는 일반인들이 느끼는 부정교합의 형태에 따라 그 치료결과와 함께 보여드리겠습니다.
|
공간의 부족-덧니(protrusioncrowing)
치아가 심길 턱뼈의 공간보다, 치아의 크기가 클 경우에 많이 나타납니다.
치아사이의 공간(spacing)
치아의 크기가 작거나, 치아가 선천적으로 없는 경우에도 나타납니다.
입이나온 경우(돌출, Protrusion)
치아가 심길 공간이 부족하거나, 모든 치아가 가지런하게 배열되면 치아들이 앞으로 나오게 됩니다.
입술도 나와보이게 되지요. 교정치료를 통해 쏙~ 들어간 예쁜 치열과 입술 주변의 모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위 치아의 돌출(excessive overjet)
위 치아와 아래 치아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입니다. 안면 골격이나 턱뼈의 이상과 함께 나타나기도 합니다.
반대교합(cross bite)
아래 치아가 위 치아를 덮는 형태입니다.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개방교합(open bite)
아래위 치아가 서로 맞물리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과개교합(deep bite)
아래위 치아가 너무 깊게 다물리는 경우입니다. 심한 경우, 아래 치아가 입천장에 닿기도 합니다.
매복치(impacted tooth)
치아가 제 위치에 나오지 못하고 뼈 속에 남아있는 것입니다. 외과적 수술로 노출시킨 뒤, 교정치료로서 제 위치로 끌어줍니다.
과잉치(supemumerary tooth)
정상적인 치아가 아닌 더 많은 수의 치아가 있는 경우입니다.
선천 결손치(congenitally missing tooth)
선천적으로 치아가 없는 경우에도 교정치료가 필요합니다.
주걱턱(mandibular prognathism)
아래턱이 과성장하거나, 위턱이 성장발육인 경우 또는 복합적인 경우에 나타나며, 수술과 함께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무턱(bird face)
아래턱의 발육 부전으로 나타나며, 입이 나와 보입니다.
안면비대칭
좌우가 완전히 대칭인 사람은 없습니다. 하지만, 비대칭의 정도가 심한 경우 교합의 장애와 함께 비심미적인 모습이 됩니다.
웃을때 잇몸이 보이는 경우
위턱의 수직성장이 과도한 경우에서 많습니다. 수술을 동반한 치료 및 여러 치료방법이 있습니다.
구순구개열
다각적인 여러 전문가의 협동 진료가 필요하며, 장기간에 걸친 치료가 필요합니다.
|
|
|
|
|
|